애니 감상시 파일 확장명(컨테이너 포맷)과 코덱에 대해
- 컨테이너?
쉽게 말해서 컨테이너라는건 우리가 말하는 AVI나 MP4, MKV같은 파일 확장자를 가지는
압축된영상이나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규약같은 것.
컨테이너 포맷인데 쉽게들 그냥 컨테이너라고 부릅니다.
정확히 따지면 어떠한 컨테이너 포맷을 가지고 하나의 파일 포맷으로 만드는 형식(avi, mp4, mkv)
인데 대충 같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많이들 확장자명(정확히는 컨테이너 포맷이나 파일 포맷이겠지만 이하 확장자명이라고 합니다.)
에 따라서 영상 화질이나 음질이 좋습니다.
좋지 않다라고 말하는데 이건 일반적으론 사실(이하 설명)이지만 정확한건 아닙니다.
다들 mkv가 mp4보다 화질이 좋고 avi가 제일 구리다 그렇게 알지만 avi도 처음 나왔을땐
꿈의 화질을 가진 영상이라고들 말했습니다.(그전의 rm파일거에 비해서요.)
- 그럼 코덱은 뭐죠?
코덱(codec)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를 합해서 말하는 말로 영상이나
음성을 압축(coder)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decoder)하는 알고리즘을 말힙니다.
많이들 아는 x264, AVC, DivX, XviD 같은 영상 코덱과 MP3, AAC, FLAC, Vorbis같은
음성 코덱으로 나눌수 있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품질은 이 코덱을 어떤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틀려집니다.
- 그럼 화질은 코덱을 다 봐야지만 확인할 수 있는건가요?
이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아까 컨테이너에서 이하에서 설명한다고 했는데
일반적으로 MKV -> MP4 -> AVI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이유가 뭔가 하니, 자기 자신이 녹화하고 인코딩해서 보는사람도 있겠지만 다들 누군가가
인코딩해둔걸 다운받아서 봅니다.
특히나 웹하드 이용하는 사람은 파일 받을때마다 포인트라던지로 일종의 댓가가 들어가니까
파일명만 보고확인이 가능하기도 해야합니다.
릴그룹이나 리퍼들은 어느정도 어떤 코덱으로 인코딩할때는 어떤 컨테이너.
이렇게 쓰다보니까 이게 맞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좀더 자세히 영상의 해상도(ex 720p 480p)라던지 사용한 코덱(x264, Xvid, aac, flac)같은걸 영상에
표기해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 그럼 어떤 코덱과 어떤 컨테이너가 좋은건가요?
- AVI
마소에서 만든 컨테이너이고 상당히 흔하게 볼수있습니다.
대세가 mp4로 넘어가서 흔하다고 말하기도 애매한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VI파일을 x264코덱으로 인코딩 할 수도 있지만(말그대로 가능한거)
AVI파일은 Xvid나 Dvix영상코덱과 MP3 음성코덱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국내 티비같은거 다운받아서보면 많이들 AVI인데 보면 x264코덱인 경우도 있긴한데
(하지만 옵션보면 좋지못합니다. Xvid로 인코딩하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공장릴들은
빠른 속도가 중요하다보니까 그렇습니다.)
그러니깐 애니는 대부분들 AVI = Xvid or Dvix + MP3라고 보면됩니다.
- MP4
애니받다보면 가장 많이 볼 수 있어. 사실상 현재 대세인 컨테이너 형식이고
MPEG-4 part 14로 규정된 파일 포맷인데
아이팟이나 갤럭시S같은데서도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예전에 핸드폰에 넣던
k3g같은 방식도 MP4의 변화형입니다.
특히나 애니가 MP4가 대세가 된 이유가 가변 프레임 레이트(VFR) 라는거 때문입니다.
VFR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애니메이션은
24프레임(정확히는 23.976이던가)으로 제작이 되는데.
매화마다 오프닝 엔딩을 새로 만드는 애니도 있지만 대부분은 한쿨에 오프닝 엔딩 하나를
우려먹다 보니까 한번 만들면,
여러번 쓸 수 있고 더 놓은 퀄리티를 보여주기 위해서 오프닝 엔딩은 120프레임으로
제작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너에게 닿기를 2기 j22립 영상 미디어 정보입니다.
최소 프레임레이트와 최대 프레임 레이트가 있는데 오프닝 엔딩은 120프레임으로 제작하고
일반 내용은 24프레임으로 제작을 한거야. 이 VFR이 AVI컨테이너에서는 불가능 했는데
MP4와 MKV포맷에서는 가능해서(다른데서도 가능하지만 AVI, MP4, MKV만 가지고 말하면)
애니에서는 특히나 진리가 된겁니다.
MP4파일같으면 99.99% x264영상 코덱과 AAC라는 음성코덱으로 인코딩 되어 있습니다.
- MKV
마트료시카 어쩌고하는 인형을 열면 안에 또 인형이 들어있는 러시아 인형의 이름에서
따왔다고합니다.
MP4와 동일하게 VFR이 가능하고 MP4보다 좀더 압축률이 좋습니다.
근데 압축률이 좋으면 그거에 따라서 당연히 좀더 시스템자원이 많이 필요합니다.
(이건 코덱도 마찬가지야 Dvix나 Xvid에 비해서 x264코덱은 훨씬 뻑뻑하게 돌아갑니다.
예전 PMP들이 x264를 거의 지원안하거나 지원을 해도 BP(basic profile)만 지원하는것도
이때문입니다.)
MKV의 경우 자막파일(ex smi ass srt)도 넣을수 있어서,
자막 파일을 넣을때(MP4에 자막이 입혀진건 영상위에다가 아예 입힌겁니다.)
사용하거나 (ex 호리블서브같은 미국릴그룹) MP4에서는 지원되는 않는
코덱 형식(x264는 이제 대세가 아니라 거의 기본이라고 봐도 되고
거의 대부분 음성코덱을 손실압축인 AAC가 아니라 무손실 압축인 flac 또는
DTS-HD같은거 넣을때 이용을합니다.)을 지원할때 이용을 많이합니다.
그러기에 조금 비교하기 힘들지만 일반적으로 BDrip이 MKV로 올라오는 이유가 flac으로 인코딩하
고 x264로 인코딩해도 좀더 옵션을 빡빡히 잡아서 비트레이트가 늘어나지만
용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MKV가 MP4보다 화질이 좋다고 말을 하는겁니다.